기상청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 Open API 획득 방법 포스트입니다.
학부생 시절 교양 프로젝트로 Java Application을 만들었는데, 그 때 구현했던 기능 중 하나가 현재 기상정보였습니다.
그 당시에도 정부기관에서는 Open API로 공공데이터 공유를 했었는데, 그때는 아직 체계가 잡히지 않아 지금보다는 편하게 접근했던 것 같습니다.
오늘은 19년 6월 4일자 기준으로 기상청의 Open API 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의 Open API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.
기상청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 Open API 획득 방법
![Weather Forecast Open API 1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1.png?resize=1004%2C727)
우선 기상청 사이트에 들어가는 것부터 시작합니다. 바로 공공데이터 사이트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.
위와 같은 사이트가 뜨게 되는데, 날씨를 볼게 아니면 스크롤을 맨 아래로 내려주시면 됩니다.
![Weather Forecast Open API 2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2-1024x609.png?resize=1024%2C609)
위 화면이 스크롤을 맨 아래로 내렸을 때의 모습입니다.
여기서 알록달록한 네모박스칸들이 있는데, 녹색 부분의 ‘기상자료개방포털’을 눌러줍니다.
대부분의 공공기관 사이트에는 이런 링크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.
![Weather Forecast Open API 3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3-1024x824.png?resize=1024%2C824)
그럼 위와 같이 기상자료개발포털로 이동하게 됩니다.
바로 이제보니 공공데이터로 같이 존재하는게 아니라 기상자료만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었네요.
기상청에서는 여러 데이터들을 개방하고 있는데요.
기상예보만 하고 이 방대한 데이터를 버리는 것도 사실 국비낭비이긴 하죠..
이 사이트에서 좌측 하단의 팝업창 같아 보이는 리스트에서 ‘open API’를 눌러줍니다.
Open-API 사이트
![Weather Forecast Open API 4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4.png?resize=647%2C424)
그럼 또 다른 사이트로 넘어오게 됩니다.
그럼 위와 같이 Open-API 사이트가 열리게 됩니다.
제목 그대로 데이터를 공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, API로 공개하여 활용도를 높였습니다.
좌측에 분류체계가 존재하는데, 대부분 관심을 갖고 계시는 날씨예보 관련 API를 받아보겠습니다. ‘날씨예보’ 폴더를 눌러줍니다.
![Weather Forecast Open API 5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5.png?resize=838%2C623)
그럼 위와 같이 현재 날짜 기준으로 9개의 목록이 나옵니다.
압도적으로 4번 ‘동네예보정보조회서비스’가 조회수가 많습니다.
저희도 저기를 눌러줍니다.
![Weather Forecast Open API 6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6.png?resize=839%2C303)
그럼 간략하게 해당 API에 대한 서비스명과, 서비스 설명을 볼 수 있고, 상세문서를 압축해둔 zip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공공기관이라 그런지 문서파일이 hwp파일입니다..
요새 한글파일 안본지 오래되어 노트북으로 열어봤다면, 보지 못했을거 같네요;
그럼 ‘활용신청’ 버튼을 눌러봅니다.
※ 만약 한글파일이 없어서 열지 못하시는 분은 ‘네이버 클라우드’에 hwp파일을 업로드한 후에 웹에서 열어보세요. 네이버 클라우드에서는 기본적으로 hwp파일을 보여주는 뷰어기능을 제공해줍니다. 복사해서 워드파일에 붙여넣기 하는걸로..
![Weather Forecast Open API 7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7.png?resize=754%2C608)
그럼 위와 같이 활용신청을 할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오게됩니다.
뭔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, 계속 사이트가 넘어갑니다..
인프라 관리를 하는 입장에서 트래픽 낭비같아 보이는건 기분탓이겠죠.
상단의 ‘활용신청’버튼을 다시 한번 눌러줍니다.
개발계정 신청
![Weather Forecast Open API 8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8.png?resize=794%2C838)
![Weather Forecast Open API 9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9.png?resize=786%2C545)
그럼 위와 같이 개발계정 신청하는 화면으로 넘어오게 됩니다.
저는 이미 위에서 신청하려 했던 서비스에 대해 신청했어서 다시 뒤로 넘어오게되더라구요.
그래서 다른 서비스를 예시로 들고왔습니다.
별 차이는 없으니 이걸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시스템 유형을 선택해줍니다.
일반/서버 구축 둘 중 하나를 선택해줘야 하는데, 아래 보시면 일일 트래픽이 100입니다. 쿼리를 100번밖에 날리지 못하는 개발계정이기 때문입니다. 이 계정으로 서비스를 한다면 문제가 생기겠죠.
운영계정을 신청한다고 하더라도, 쿼리개수는 무제한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최종적으로 서버 구축으로 방향을 잡아주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.
사실 쿼리 때문이 아니더라도, 쿼리에 키값을 넣어줘야 하는데, 그게 하드코딩되어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보안상 좋지도 않을 것 같네요.
활용목적은 각자 목적에 맞게 선택해줍니다.
첨부파일은 사업자의 경우 안내사항에 적혀있는대로 첨부를 해야하는데, 그냥 심심풀이 공부를 위한 것이라면 첨부하지 않아도 무관합니다.
상세기능정보는 그냥 다 체크해서 받아줍니다.
라이센스표시에 동의 체크를 한 후 ‘신청’버튼을 눌러주면 신청이 마무리됩니다.
![Weather Forecast Open API 10](https://i0.wp.com/thinkground.studio/wp-content/uploads/2019/06/190604_Weather-Forecast-Open-API-10.png?resize=1015%2C457)
위에서 신청한 서비스의 경우 자동승인이 되는 API입니다.
바로 승인이 나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,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아래 승인난 건에 대해 눌러보시면, 운영계정을 신청할 수도 있고 쿼리를 요청할 때 필요한 인증키를 발급받을 수도 있습니다.
우선 문건을 보면서 공부를 하는게 우선일 것 같네요.
REST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크게 어렵게 느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
지금까지 기상청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 Open API 획득 방법 포스트였습니다.
이 포스트는 ‘ThinkGround Ordinary Apps Development Project‘와 관련하여 작성되었습니다.